안녕하세요! 유튜브, KDP, 애드센스 등 해외 플랫폼 수익을 올리는 분들 많으시죠? 그런데 이 과정에서 자동으로 원천징수 세금이 빠져나가는 구조, 궁금하지 않으셨나요?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국가별 원천징수 구조와 환급 가능 여부를 표로 정리해 드릴게요.
1. 원천징수란?
플랫폼에서 수익을 지급할 때, 해외 세무당국이 먼저 일정 금액을 떼어가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유튜브는 미국 IRS 기준으로 외국인에게도 최대 30%를 원천징수할 수 있어요.
2. 미국 수익자: 1042-S 서류만으로 환급 가능?
- 애드센스·유튜브·KDP 등은 매년 1042-S 세금 신고서를 발급해 줍니다. - 하지만 한국 거주자는 미국 IRS에 직접 환급 신청은 불가능합니다. → 대신 국내 종합소득세 신고 시, 외국납부세액공제 항목으로 일부 공제받는 방식입니다.
3. 국가별 원천징수 비교표
국가별 원천징수 요약 비교표 인포그래픽
해외 플랫폼에서 수익을 받을 때, 나라마다 원천징수 방식과 서류가 다릅니다. 아래 표는 2025년 기준으로 주요 수익 발생 국가에서 어떤 세금 서류가 발급되고, 그 세금이 해외에서 직접 환급 가능한 지, 국내 종합소득세 신고 시 국내에서 공제 가능한지를 요약한 것입니다.
미국
1042-S
국내에서 외국납부세액공제로 일부 적용
영국
SA302 등 (플랫폼 자체 발급)
이중과세방지 협정 존재, 외국납부세액공제 공제
캐나다
T4A 등
외국납부세액공제로 일부 적용
호주
PAYG Summary
외국납부세액공제로 일부 공제
💡 중요 포인트
- 미국(1042-S)은 국내 종합소득세 신고 시 외국납부세액공제로 공제 가능 - 영국, 캐나다, 호주 등의 서류는 일부 세무사만 공제 적용 가능 여부를 판단해 줄 수 있으니 전문 상담 필수 - 대부분 직접 환급은 어려우며, 환급보다는 '국내 공제'를 우선 고려하는 것이 현실적인 전략입니다.
4. 현실적인 해결 방법
환급보다는 국내 종합소득세 신고에서 외국납부세액공제를 받는 방식이 가장 일반적입니다. 1042-S, 기타 납부 증빙이 있다면 세무사와 함께 처리하면 환급 or 감면 효과를 얻을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