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재테크 정보 쉽게 정리해 드리는 레이나입니다.
오늘은 2025년에도 가입 가능한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청년형 장기펀드'는 단순한 펀드가 아니라, 국가가 세금으로 밀어주는 투자형 절세 상품입니다.
지금이 아니면 못 가입하니, 자격 조건이 된다면 꼭 확인해 보세요!
청년형 장기펀드란?
Pixabay 로부터 입수된 Gerd Altmann 님의 이미지입니다.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세제 혜택 상품입니다.
쉽게 말해, 펀드에 투자하면서 연말정산 때 소득공제까지 받을 수 있는 구조예요.
주요 특징
•연간 600만 원까지 납입 가능
•최대 5년 간 운용
•납입액의 40%를 소득공제 (연 240만 원 한도)
•과세 이연 혜택
2025년 가입 대상은?
다음 모든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1. 만 19세 ~ 34세 (1990~2006년 출생자 기준)
2. 총 급여 5,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4,000만 원 이하)
3.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아님
4. 기존 소득공제 펀드 가입자 아님
→ 위 조건에 해당되면, 누구나 은행/증권사 앱 또는 창구에서 가입 가능합니다.
청년형 장기펀드의 핵심 혜택
항목 |
내용 |
연간 납입 한도 |
600만 원 |
최대 운용 기간 |
5년 |
소득공제율 |
40% (연 최대 240만 원 공제) |
중도 해지 시 |
공제 받은 세금은 환급해야 함 |
만기 인출 시 |
과세 이연 + 낮은 세율 적용 가능 |
실제 절세 효과 계산 예시
더보기
연간 600만 원 납입 × 40% = 240만 원 소득공제
→ 연말정산 시 약 36만 원 ~ 60만 원 세금 환급 (소득구간에 따라 상이)
이걸 5년 유지하면 최대 300만 원 이상의 절세 효과를 얻을 수 있어요!
어떤 상품을 골라야 할까?
청년형 장기펀드는 ‘펀드’ 상품에 투자하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증권사나 은행이 제시하는 투자상품을 잘 비교하셔야 합니다.
추천 유형
•저위험형 : 채권혼합형 펀드, ESG 펀드
•중위험형 : 국내 주식형, 배당주 펀드
•고수익형 : 글로벌 테마 ETF 편입형 펀드
※ 투자 성향에 따라 펀드 구성이 달라지므로, 상품 설명서와 수수료 꼭 확인하세요.
가입 방법
1. 은행/증권사 방문 or 앱 접속
2. 청년형 장기펀드 메뉴 선택
3. 자격 요건 입력 → 투자 성향 테스트
4. 상품 선택 후 가입 완료
→ 비대면으로도 10분 이내 가입 가능하며, 2025년 중 연말정산 소득공제 반영됩니다.
유의사항 체크!
• 중도 해지 시 세금 환수
• 다른 소득공제형 펀드와 중복 불가
• 펀드 수익은 과세 대상 (단, 과세이연 효과 있음)
• 5년 유지가 핵심!
이런 분들께 강력 추천해요
• 연말정산 세금 환급 노리는 직장인
• 소액으로 펀드 시작하고 싶은 20~30대
• ISA, IRP 등 절세 상품 이미 활용 중인 분
청년형 장기펀드는 한 번 가입하면 5년 동안 안정적으로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조건이 맞는다면, 올해 안에 꼭 챙겨 보세요!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댓글 부탁드립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2025 ISA 계좌 혜택 & 비교 (은행 vs 증권사) 어디가 유리할까? 최신 비교 가이드
비과세 통장 TOP 3 비교! ISA, 연금저축, IRP 뭐가 제일 이득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