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금융 첫 걸음

비과세 통장 TOP 3 비교! ISA, 연금저축, IRP 뭐가 제일 이득일까?

  • -
반응형

안녕하세요, 레이나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재테크 입문자도 꼭 알아야 할 비과세 통장 3종 세트를 소개해 드립니다.

바로 ISA, 연금저축, IRP인데요,

세 가지 모두 절세 + 복리 + 장기 자산관리에 효과적인 상품입니다.

하지만 각각의 목적과 혜택, 수수료가 다르기 때문에 잘 비교하고 가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과세 통장이란?

 

 

‘비과세 통장’은 말 그대로 수익에 세금을 거의 안 내거나, 아주 적게 내는 금융 상품입니다.

매년 저금리 시대에도 세금 혜택만 잘 받아도 수익률 차이가 큽니다.

 

3대 비과세 통장 한눈에 비교

 

 

 

항목  ISA  연금저축  IRP
 세제 혜택 비과세 (최대 400만 원)  세액공제 (연 최대 66만 원)  세액공제 (연 최대 115.5만 원)
납입 한도 연 2,000만 원 연 400만 원 연 700만 원
중도 인출 제한 있음 제한 있음 제한 있음
추천 대상 재테크 초보, 절세 시작 30~40대 직장인 고소득 직장인, 퇴직금 굴리기용

           

 

① ISA 계좌 – 통합형 절세 계좌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는 예적금, ETF, 펀드 등을 하나의 계좌에서 통합 운용할 수 있는 통장입니다.

 

장점

• 수익 중 200~400만 원까지 비과세

• 하나의 계좌에서 다양한 자산 운용

• 만기 시 분리과세(9%)로 전환 가능

 

단점

• 중도 해지 시 비과세 혜택 소멸

• 상품 구성은 직접 선택해야 함

 

추천 대상: 재테크 시작 단계, 투자 경험은 없지만 절세는 챙기고 싶은 분

 

② 연금저축 – 국민연금 +α 전략

 

연금저축계좌는 은퇴 후를 대비한 개인형 연금 계좌입니다.

매년 납입액의 13.2%를 세액공제받을 수 있어, 연말정산 효자 상품으로도 유명하죠.

 

장점

 

• 연 400만 원까지 세액공제 (최대 66만 원)

•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 시 낮은 세율(3.3~5.5%) 적용

• 수익에 대한 과세는 이연

 

단점

 

• 55세 전 인출 시 페널티 세금 부과

• 수익률은 운용 상품에 따라 다름

 

추천 대상: 꾸준한 소득 있는 직장인, 연말정산 환급받고 싶은 분

 

③ IRP – 직장인의 퇴직금+세액공제 계좌

 

개인형 퇴직연금(IRP)은 퇴직금이나 본인 추가납입금으로 운용하는 장기형 연금 통장입니다.

 

장점

 

• 연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 (타 연금저축 합산)

• 퇴직금도 함께 운용 가능

• 수익에 대한 세금 이연

 

단점

 

• 연금 수령까지 인출 제한

• 일부 금융사 수수료 있음

 

추천 대상: 퇴직금 운용 계획 있는 직장인, 고소득자, 세금 부담 큰 프리랜서

 

3개 통장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

 

추천 조합

 

• ISA + 연금저축: 젊은 직장인에게 최적

• 연금저축 + IRP: 연말정산 환급 극대화 조합

• ISA + IRP: 수익+세액공제 모두 챙기기

 

TIP:  IRP와 연금저축은 연간 700만 원 한도로 묶이므로 납입액 분산 잘해야 합니다.

 

나에게 맞는 비과세 통장은?

조건  추천 통장
재테크 입문, 소득 낮음  ISA 
20~40대 직장인 연금저축
고소득 or 퇴직금 운용 IRP 

 

 

세금은 줄이고, 수익은 높이는 것이 진짜 재테크입니다.

비과세 통장 하나만 잘 활용해도 몇 년 뒤 자산 차이가 크게 벌어질 수 있어요.

 

 

👉같이 보면 좋은 정보

2025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완전 정리! 조건 절세 혜택

2025 ISA 계좌 혜택 & 비교 (은행 vs 증권사) 어디가 유리할까? 최신 비교 가이드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스크랩/댓글 부탁드립니다!

반응형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