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페이와 공동인증서 비교 썸네일
안녕하세요, 레이나입니다.
공공기관이나 금융 서비스 이용할 때 나오는 ‘공동인증서’…
복잡하고 귀찮아서 로그인하다가 포기하신 적 있으시죠?
요즘은 카카오페이 인증서, PASS, 네이버 인증서 같은 간편 인증도 널리 사용되고 있어요.
오늘은 그중에서도 카카오페이 인증서와 공동인증서의 차이를 비교해서,
어떤 걸 더 자주 쓰게 될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카카오페이 인증서란?
카카오톡 안에 내장되어 있는 모바일 간편 인증 수단으로,
지문이나 얼굴인식 같은 생체인증으로 본인 확인이 가능해요.
정부24, 홈택스, 은행, 병원 예약, 본인확인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됩니다.
설치가 따로 필요 없고, 유효기간도 2년이라 훨씬 간편하죠.
공동인증서란?
기존 공인인증서가 이름만 바뀐 형태로,
은행 업무나 세무서류 제출처럼 보안이 필요한 서비스에 사용됩니다.
다만 여전히 PC에 설치하거나, USB에 저장해야 하며
유효기간도 1년이라 매년 갱신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요.
카카오페이 vs 공동인증서 상세 비교
사용 방식 | 카카오톡에서 지문/얼굴인식 | PC 또는 USB 저장된 인증서로 로그인 |
설치 편의성 | 별도 설치 불필요, 모바일 기반 | PC 프로그램 설치 필요, 브라우저 오류 잦음 |
사용처 | 정부24, 홈택스, 은행, 병원 등 광범위 | 홈택스, 은행, 세무/민원서비스에 제한적 |
유효기간 | 2년 (카카오톡에서 갱신) | 1년 (만료 후 재발급 필요) |
보안 | 생체인증 + 기기 인증 | 비밀번호 + 저장소 암호화 |
대표 단점 | 일부 금융사에서는 미지원 | 설치 번거로움, 모바일 사용 불편 |
어떤 상황에서 뭘 써야 할까?
- 빠른 로그인, 모바일 민원, 예약 등: 카카오페이 인증서가 편함
- 은행 대출, 세금신고, 법인용 서류: 공동인증서가 아직 필요함
설치 방법 (카카오페이 인증서)
카카오톡- 하단 [더보기]- [인증서] 항목 클릭
- 카카오톡 앱 실행
- 하단 '더보기' 탭 클릭
- 카카오페이 → '인증서' 클릭
- 휴대폰 본인 인증 후 사용 가능
카카오페이 인증서 공식 안내 바로가기
2025년에는 공공서비스 대부분이 간편인증으로 바뀌고 있어요.
카카오페이 인증서 하나면 대부분 해결 가능
하니 미리 등록해두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하지만 고보안 업무(대출, 세무 등)에는 아직 공동인증서도 필요하니
둘 다 상황에 맞춰 준비해 두면 좋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