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ASS 신청방법부터 환급조건까지 2025 교통비 지원제도 정리 썸네일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운영 중인 대중교통비 환급 제도 'K-패스(K-Pass)'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출근길, 등굣길에 꼭 필요한 교통비 절약 꿀팁! 한국교통안전공단 공식 안내를 바탕으로 정확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1. K-패스란?
K-PASS 요약 정리 인포그래픽 ❘ 환급 조건 & 신청 대상 한눈에 보기
K-패스(K-Pass)는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이 주관하는 교통비 환급 제도입니다.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국민에게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월 최대 60회까지 적립금을 지급해 주는 정책으로,
교통비 절감은 물론 탄소 감축과 대중교통 활성화를 도모합니다.
- 운영 지역: 17개 시도 210개 시군구
- 지원 대상: K-PASS 사업에 참여하는 지자체 주민 만 19세 이상
- 적립 수단: 버스(광역버스 포함), 도시·광역철도(신분당선, GTX 등 포함), 공항철도 등
2. K-패스 이용 방법
기존 알뜰 교통카드 이용자는
K-PASS 회원 전환 시 사용 중인 알뜰교통 카드와 계정 그대로 이용 가능합니다.
신규 가입인 경우에는 아래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 발급 가능한 카드사에서 K-PASS 카드 발급
- K-PASS 회원가입 후 발급 카드 등록(발급카드 번호 15~16자리 입력 후 [유효성 체크] 클릭)
- K-PASS 교통카드로 전국 대중교통 이용 시 일정 비율 적립 및 지급
3. 지급 기준 및 적립률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지급되며 가입 첫 달은 15회 미만 이용 시에도 지급됩니다.
- 일반 : 20% 적립
- 청년 : 만 19세~34세 30% 적립
- 저소득 : 53% 적립
- K-PASS 교통카드로 대중교통 이용 시 일정 비율 적립 및 지급
월 대중교통 이용금액 20만 원 초과 시 초과 이용금액에 대해서는 50%만 지급 (경기, 인천 제외)
4. 꼭 알아둘 점
K-패스는 환급을 위해 별도 영수증 제출이 필요 없고, 카드 등록만으로 자동 집계 및 환급이 이루어지는 간편한 시스템입니다.
단, 동일 카드로 택시·자가용 등 비대중교통 결제 내역이 포함되면 실적 인정이 제한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해요.
5. 공식 안내 및 신청처
정확한 참여 지역, 환급 기준, 신청 방법은 아래 K-PASS 공식 안내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K-PASS 공식 안내 바로가기
요약하자면, K-PASS는 출퇴근이나 통학 등으로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시는 분들께
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는 좋은 제도입니다.
신청방법도 간단하고, 카드만 등록하면 자동으로 환급되니 지금 바로 활용해 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앞으로도 생활에 유용한 정보를 전해드릴게요.
레이나'S 정보채널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