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프리랜서 퇴직연금 가입 방법 썸네일
안녕하세요, 레이나입니다.
프리랜서로 일하면서 소득은 꾸준히 생기지만, 퇴직금은 따로 쌓이지 않다 보니 불안함을 느끼는 분들도 많으시죠.
오늘은 프리랜서 분들이 준비할 수 있는 퇴직연금 방법, 특히 노란우산공제와 개인형 IRP를 비교하여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프리랜서도 퇴직연금이 필요할까?
프리랜서는 일반 직장인처럼 퇴직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소득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만큼,
스스로 노후 준비를 해야 합니다.
이때 활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제도가 노란우산공제와 개인형 IRP입니다.
2. 노란우산공제 vs 개인형 IRP 차이
▶ 노란우산공제
- 중소기업중앙회가 운영
- 소득공제: 연 최대 500만 원까지 소득공제 가능
- 가입 대상: 사업자등록증 보유 사업자 (프리랜서도 일부 가능)
- 해지 시 퇴직소득세 과세 / 중도해지 시 불이익 있음
▶ 개인형 IRP
- 은행, 증권사, 보험사 등 금융기관 운영
- 세액공제: 연 700만 원 한도 내 세액공제 가능 (총급여 5500만 원 이하일 경우 16.5%)
- 가입 대상: 근로자, 자영업자, 프리랜서 모두 가능
- 노후자금 활용 외에도 중도 인출 가능 (조건 충족 시)
3. 세액공제 혜택 비교
- 노란우산공제: 사업소득 기준 소득공제 → 소득이 많은 프리랜서에 유리
- 개인형 IRP: 총급여·종합소득금액 기준 세액공제 → 5500만 원 이하 시 16.5%
4. 가입 방법은?
▶ 노란우산공제
노란우산 홈페이지 가입신청 메뉴 스크린샷 화면
- 공식 홈페이지에서 신청
- 사업자등록증 첨부 후 공제 가입 신청서 작성
노란우산공제 가입 바로가기
▶ 개인형 IRP
- 은행·증권사·보험사에서 상품 비교 후 가입
- 연간 납입 한도(700만 원) 관리 필요
2025년 프리랜서 퇴직연금 가입 방법 요약 인포그래픽
함께 보면 좋은 글
프리랜서도 적극적으로 퇴직연금을 준비해야 합니다.
노란우산공제와 IRP는 각각 특징과 세제 혜택이 다르기 때문에, 본인의 소득 구조에 맞춰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이나 공감 부탁드립니다.
레이나’S 정보채널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