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직증명서 vs 경력증명서 제출 상황·발급 기준 차이 총정리 썸네일
안녕하세요, 레이나입니다!
회사에 다니면서 대출을 받거나 자녀 학교 서류를 제출할 때,
또는 이직 준비를 할 때 꼭 필요한 게 재직증명서와 경력증명서입니다.
이름은 비슷한데 어떤 상황에 어떤 서류를 내야 하는지 헷갈릴 수 있죠.
오늘은 이 두 서류의 차이점과 실제 제출해야 하는 상황을 기준으로 깔끔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1. 재직증명서란?
재직증명서는 현재 다니고 있는 회사에 실제로 근무 중이라는 사실을 증명하는 문서입니다.
회사에 소속돼 있다는 걸 공식적으로 보여주는 서류라, 보통은 인사팀이나 사업주가 발급합니다.
언제 쓰이냐면? 대출 심사, 건강보험 자격 확인, 자녀 학교 제출 서류 등 행정 처리에서 자주 요구돼요.
- 발급 대상: 현재 재직 중인 사람만 가능
- 포함 정보: 이름, 입사일, 부서, 직위, 회사 정보 등
퇴사자에게는 발급되지 않습니다! 이게 경력증명서와의 첫 번째 차이죠.
2. 경력증명서란?
경력증명서는 과거에 근무했던 회사에서 어떤 일을 얼마 동안 했는지 경력을 증명하는 서류입니다.
재직증명서가 ‘지금 재직 중’을 말하는 거라면, 이건 ‘이전 경력 전체’를 보여주는 용도죠.
보통 이직 준비할 때, 공공기관 지원할 때, 직무 이력 증명이 필요할 때 요청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발급 대상: 퇴사 후에도 발급 가능
- 포함 정보: 근무 기간, 담당 업무, 직책, 퇴사일 등
이전 회사에 요청하면 팩스로도 받아볼 수 있고, 일부 기업은 이메일이나 회사 포털을 통해 온라인으로도 발급해 줘요.
3. 어떤 상황에 어떤 서류를 써야 할까?
두 서류가 정확히 어떻게 다른지 아래 표로 정리해 봤어요.
필요한 상황에 따라 어떤 문서를 준비해야 할지 한눈에 비교해 보세요.
구분 |
재직증명서 |
경력증명서 |
발급 시점 |
재직 중일 때만 |
퇴사 후에도 가능 |
사용 목적 |
재직 증명 (대출, 보험 등) |
경력 확인 (이직, 지원 등) |
포함 내용 |
부서, 직위, 입사일 |
근무 기간, 직무 내용, 퇴사일 |
표만 보면 둘 다 ‘회사 다녔던 사람’ 관련 문서처럼 보이지만, 실제 쓸 수 있는 상황은 완전히 다릅니다.
4. 요약정리
- 재직증명서: 현재 회사에 다니고 있다는 걸 증명 (재직 중에만 발급)
- 경력증명서: 퇴직 후에도 받을 수 있고, 경력 제출용으로 사용
- 활용 예: 재직증명서 → 대출, 건강보험 / 경력증명서 → 이직, 입사지원
상황에 따라 한쪽만 필요한 경우도 있고, 두 서류 모두 제출해야 할 때도 있어요.
헷갈리지 않도록 미리 어떤 문서가 필요한지 기관에 확인
해보는 게 가장 안전합니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2025년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발급 및 PDF 저장 방법 | 모바일·PC 정리
2025년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발급 및 PDF 저장 방법 | 모바일·PC 정리
직장을 다니거나 이직·퇴사를 하면서 종종 듣게 되는 서류, 바로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입니다.이 서류는 건강보험 자격을 취득하거나 상실한 이력이 담긴 공식 증명서로,기업 입사, 정부지
lasleinas.com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재직·경력 관련 증명서도 상황에 맞게 똑똑하게 준비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