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월세 특별지원은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인 만 19세부터 34세까지 지원받을 수 있으며, 최대 12개월간 월 20만 원을 지원해 주기 때문에 월세가 부담스러운 청년들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청년 전세보증금 지원 제도는 전세 보증금을 저리로 대출받아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로, 전세금을 마련하기 어려운 청년들에게 유리한 조건입니다.
2. 지자체별 추가 지원 제도
정부 외에도 지자체별로 추가적인 청년 주거비 지원 제도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각 지역에서 제공하는 지원이 다르므로 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제공하는 혜택이 있는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소득 150% 이하, 최대 20만 원 x 10개월
부산 청년주거비: 청년 1인 가구, 월 10만 원씩 지원
경기도 일하는 청년 월세지원: 월 20만 원, 12개월간 지원
광주광역시 청년 월세지원: 중위소득 120% 이하, 월 15만 원
예를 들어, 서울시 청년월세지원은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의 150% 이하인 청년에게 지원되며, 최대 10개월 동안 월 20만 원을 지원합니다.
또한, 경기도 일하는 청년 월세지원은 청년이 일하고 있는 경우에만 월 20만 원, 최대 12개월까지 지원해 주는 제도입니다.
이처럼 지역별 지원은 소득 기준, 지원 금액, 지원 기간 등 다양한 조건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각 지자체별로 직접 확인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신청 전 꼭 확인할 점
청년 주거비 지원 제도를 신청하기 전에 필수 조건을 확인해야 합니다. 각 제도마다 신청 자격과 조건이 다르므로, 아래 사항들을 미리 체크해 보세요.
본인 명의 계약 + 주민등록상 주소 일치 필수
보증금/월세 금액 조건 충족 여부 확인
국민기초생활수급자 또는 타 지원과 중복 불가한 경우도 있음
본인 명의 계약과 주민등록상 주소 일치는 대부분의 지원 제도에서 필수적인 조건입니다. 또한, 보증금/월세 금액 조건을 충족해야 하므로 자신의 계약 조건을 정확히 파악해 두고 신청하세요. 국민기초생활수급자나 기타 복지 혜택을 받는 사람은 일부 제도에서 중복 지원이 불가할 수 있습니다.
4. 청년 주거비 지원제도 찾는 법
각 제도는 복지로, 정부24, 지자체 홈페이지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 두 링크를 통해 맞춤형 검색을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