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종합소득세 기준경비율 신고 가이드 썸네일
안녕하세요! 레이나입니다.
매년 5월이면 종합소득세 신고 걱정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특히 장부를 써본 적 없는 프리랜서나 소규모 사업자분들은 ‘어떻게 신고해야 하지?’ 하며 막막할 수 있는데요.
오늘은 간편장부 대상자 중에서도 기준경비율 방식으로 간단히 신고하는 방법을 설명드릴게요. 국세청 기준 그대로 쉽게 풀어드릴 테니 끝까지 따라와 주세요!
1. 간편장부 대상자 기준
간편장부는 회계 지식이 없어도 수입과 지출만 기록하면 되는 아주 쉬운 장부예요.
아래 기준보다 수입이 적은 분은 ‘간편장부’를 쓸 수 있어요:
- 도소매업: 3억 원 미만
- 제조·건설·운수업: 1.5억 원 미만
- 서비스업·교육업: 7,500만 원 미만
※ 변호사, 회계사 등 전문직은 수입과 상관없이 복식부기 대상이라 해당되지 않아요.
2. 기준경비율이란?
기준 경비율이란 국세청이 정한 업종별 비율만으로 경비를 계산하는 구조입니다.
예를 들어, 국세청에서 “이 업종은 평균적으로 90%가 경비로 나가더라”라고 정해두면, 내 수입이 1억 원일 때 자동으로 9천만 원을 비용으로 빼주고 나머지 1천만 원만 소득으로 잡는 방식이에요.
이 방식에서는 세부 지출 항목 입력은 따로 할 수 없습니다.
3. 기준경비율로 신고할 수 있는 조건
간편장부 대상자라도, 수입이 일정 금액 이상이면 ‘기준경비율 신고’를 할 수 있어요.
- 도소매업: 수입 6,000만 원 이상
- 제조업 등: 수입 3,600만 원 이상
- 기타 서비스업: 수입 2,400만 원 이상
이 조건 이상이면 장부 없이도 간단히 신고할 수 있는 셈이에요!
4. 홈택스 기준경비율 신고 방법 간단히 보기
종합소득세 기준경비율 신고 방법
- 홈택스 접속 후 로그인
- [세금신고] → [종합소득세 신고] 선택
- [일반신고] → [정기신고]
- 기본사항 및 신고서 순서에 따라 정보 입력
- 전자신고로 제출하고 납부
5. 주의할 점
- 실제 지출이 많은 분은 기준경비율이 손해일 수 있어요. 이럴 땐 장부를 쓰는 게 유리해요.
- 기장 안 하면 ‘무기장 가산세’가 붙을 수 있으니, 요건을 꼭 확인하세요.
- 경비율은 매년 조금씩 바뀌니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최신 자료를 확인하세요.
✅ 함께 보면 좋은 글
이번 글이 기준경비율 신고에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글들도 함께 참고해 보세요.
종합소득세를 처음 신고하시거나, 상황별 신고 방법이 궁금하신 분들께 유용할 거예요.
종합소득세 간편장부 기준경비율 신고법 요약 인포그래픽
기준경비율 신고는 ‘장부 없이 간단히’ 소득을 계산할 수 있어서 신고가 처음인 분께 특히 좋은 방법이에요.
홈택스를 이용하면 수입만 입력해도 세금 계산이 자동이라 더 편리하죠. 오늘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이나 공감으로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