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정부지원 민원 가이드

2025년 청년 전세자금 이자지원, 지금 신청 가능한 제도는?

  • -
반응형

 

2025년 청년 전세자금 이자지원, 지금 신청 가능한 제도는? 썸네일

 

 

 

안녕하세요. 요즘 전세 계약 앞두고 걱정 많으신 청년분들 많으시죠?

전세자금 대출은 받아야겠고, 이자 부담은 점점 커지니 어떤 지원 제도가 있는지 궁금해지는 시기입니다.

하지만 검색해 보면 신청이 끝난 제도도 많고, 정확한 정보 찾기 어렵죠.

이번 글에서는 2025년 5월 현재 실제로 신청 가능한 청년 전세자금 이자지원 제도만 깔끔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지금 확인하고 놓치지 말고 꼭 챙겨보세요!

서울시 청년 전세자금 이자지원

 

 

서울시는 청년 무주택자를 대상으로 전세자금 대출 이자 연 최대 2.0% 지원 제도를 운영 중입니다.

대출을 이미 받은 상태에서도 조건이 맞으면 이자 일부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 지원 대상: 서울시 거주 만 19~39세 무주택 청년
  • 소득 기준: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 주택 요건: 전세보증금 5억 원 이하 주택
  • 지원 내용: 전세대출 이자 연 최대 2.0%, 최대 2년간 지원

 

서울시 신청 방법

 

서울시 청년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신청 페이지

 

 

서울시 이자지원은 서울주거포털에서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합니다.

신청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서울주거포털 접속 및 공동인증서 로그인
  2. ② 청년 전세자금 이자지원 메뉴 클릭
  3. ③ 주민등록등본, 임대차계약서, 소득서류 등 첨부
  4. ④ 심사 및 승인 후 이자지원 결정

 

 

 

 

 

버팀목 청년 전세자금 대출

 

국토교통부와 주택도시기금이 운영하는 버팀목 대출은 청년 전용 전세자금 대출로, 낮은 금리(연 1.8~2.7%)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정책금융 상품입니다.

  • 지원 대상: 만 34세 이하 무주택 세대주
  • 소득 기준: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 주택 요건: 보증금 2억 이하, 전용면적 85㎡ 이하
  • 금리 혜택: 연 1.8~2.7% (조건에 따라 차등)

 

버팀목 대출 신청 방법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 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 안내 화면

 

 

 

버팀목 대출은 취급은행(우리·농협·신한 등) 창구에서 직접 신청해야 하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임대차계약 체결 (계약금 5% 이상 납부)
  2. ② 은행 방문 → 대출상담 및 신청서 작성
  3. ③ 주민등록등본, 재직·소득증명서, 임대차계약서 등 제출
  4. ④ HUG(주택도시보증공사) 보증심사
  5. ⑤ 승인 후 전세금 입금 처리
  6. 버팀목 대출 안내 바로가기

 

 

 

 

 

아래 인포그래픽에서 서울시 제도와 버팀목 대출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어요!

서울시 청년 전세 이자 지원 및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요약 인포그래픽

 


 

전세자금 대출 신청 시 꼭 필요한, 주민등록등본, 건강보험 증명서 같은 민원 서류 준비 방법도 함께 확인해 보세요.

 


 

이자 한 푼도 아쉬운 요즘, 청년들에게는 작은 지원도 큰 도움이 됩니다.

서울시의 이자지원 제도와 버팀목 대출은 현재 기준으로 신청 가능한 실질적 제도이니 조건이 맞는다면

꼭 신청해 보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레이나's 정보채널에 들러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