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크레딧 중에도 국민연금 고지서? 납부예외 신청 안 하면 이중 납부
실업크레딧 중에도 국민연금 고지서? 납부예외 신청 안 하면 이중 납부 썸네일
안녕하세요.
퇴사 후 실업급여를 받으며 실업크레딧을 신청하신 분들 중, 예상치 못한 국민연금 고지서를 받아 당황하신 분들 많으실 겁니다.
"분명히 국가가 보험료 일부를 대신 내준다던데, 왜 또 고지서가 나오는 거지?" 이 의문을 지금부터 명확하게 풀어드리겠습니다.
📌 실업크레딧 vs 납부예외
실업크레딧은 실업급여를 받는 분이 국민연금 가입 기간이 끊기지 않도록, 국가가 보험료의 75%를 부담해주는 제도입니다.
단, 실업크레딧을 신청했다고 해서 보험료 고지가 막히는 건 아닙니다.
고지서를 막으려면 '납부예외'라는 별도의 절차가 필요합니다.
이건 본인이 소득이 없다는 사실을 국민연금공단에 신고하고, 고지서를 아예 발송하지 않도록 하는 신청입니다.
⚠️ 납부예외 미신청 = 이중 납부
실업크레딧만 신청하고 납부예외를 하지 않으면, 국민연금공단은 본인을 지역가입자로 자동 전환하고 고지서를 발송합니다.
이때 고지서에는 실업크레딧으로 지원받는 금액 외에도, 본인 부담분이 청구되어 이중 납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중으로 납부하게 되더라도 국민연금 가입 기간은 인정됩니다.
하지만 굳이 내지 않아도 될 본인 부담금을 추가로 납부하게 되는 것이니, 원하지 않는다면 반드시 납부예외 신청을 함께 해야 합니다.
✅ 이중 납부 피하는 2가지 방법
- 실업크레딧 + 납부예외 신청 → 가입 기간 인정 + 본인 부담 없음
- 실업크레딧만 신청 → 가입 기간 인정 + 고지서 발송 → 이중 납부
📝 납부예외 신청하는 법
납부예외는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또는 유선/방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납부예외 신청 바로가기
📊 국민연금 처리 절차 요약
👇 아래는 실업급여 수급자가 국민연금 관련해서 밟아야 할 절차를 요약한 표입니다.
단계 |
내용 |
1단계 |
실업급여 신청 (고용센터) |
2단계 |
실업크레딧 신청 (국민연금공단) |
3단계 |
납부예외 신청 (소득 없음 기준) |
4단계 |
고지서 발송 여부 확인 |
👥 실업크레딧 신청 자격
- 만 18세 이상 ~ 60세 미만
- 실업급여 수급 자격 인정자
- 최근 10년 이내 국민연금 가입 이력 보유
🧾 이중 납부, 꼭 피하려면
실업크레딧만으로 가입 기간은 인정받을 수 있지만, 고지서까지 피하고 싶다면 납부예외 신청을 반드시 함께 해야 합니다.
괜히 이중 납부하고 나중에 환불 신청하느라 번거롭지 않으려면, 미리 처리해두는 게 가장 좋습니다.
아직 실업크레딧 신청을 하지 않으셨다면 아래 글도 함께 확인해보세요.
👉2025 실업크레딧 신청 방법 | 국민연금 보험료 정부지원 받는 법
2025 실업크레딧 신청 방법 | 국민연금 보험료 정부지원 받는 법
"> "> "> ">">">">2025 실업크레딧 신청 방법 | 국민연금 보험료 정부지원받는 법 실업 중에도 국민연금 납부 이력이 끊기지 않도록 정부가 일부 보험료를 지원해주는 제도가 바로 실업크레딧입니다.
lasleinas.com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로 소통해 주시면 큰 힘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