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오늘의 자이언츠

롯데자이언츠 직관 좌석 비교 | 사직야구장 에비뉴엘석 vs 22블록 중앙 탁자석 추천 후기

  • -
반응형

안녕하세요. 사직야구장 직관을 앞두고 어떤 좌석을 예매할지 고민되시나요?
특히 프리미엄 좌석인 에비뉴엘석22블록 테이블석 중에서 선택을 망설이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오늘은 이 두 좌석의 정확한 위치, 시야, 가격, 분위기까지 실후기와 예매처 기준 정보를 바탕으로 상세히 비교해 드립니다.
 

1. 에비뉴엘석

 

 
 

  • 위치: 3루 측 바로 뒤, 홈플레이트 정중앙 하단부 (기존 그라운드석)
  • 시야: 포수·투수·타자 라인이 정면에 들어오며, 일부 좌석은 그물 지지대가 살짝 겹칠 수 있지만 시야에 큰 지장은 없습니다.
  • 가격: 주중 120,000원 / 주말 150,000원 / 시야방해 주중 84, 000원 주말 105,000원 (2025년 기준, 컬러 프라이스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에비뉴엘석은 사직야구장 전체 좌석 중에서도 가장 프리미엄에 가까운 구역입니다.
경기를 정면에서 가장 가깝게 볼 수 있는 위치이며, 좌석마다 테이블이 접이식으로 설치돼 있어
경기 중에 펼쳐 사용하고, 필요 없을 땐 깔끔하게 접어둘 수 있습니다.
좌석 간 간격이 넓어 관람이 편안하고, 전체적으로 조용하고 안정적인 분위기 속에서 경기를 즐길 수 있습니다.
경기 전체 흐름을 정밀하게 보고 싶은 분들께 강력 추천됩니다.
 
 

에비뉴엘석 13블록에서 보이는 마스코트 누리와 경기 중 선수들 사진입니다.

 
 
에비뉴엘석이 실제로 어떤 느낌인지 더 궁금하시다면, 직접 관람한 에비뉴엘석 시야 후기를 아래 글에서 확인해 주세요.
실제 좌석 시야와 현장 분위기까지 자세히 정리해 두었습니다.
 
 
에비뉴엘석 시야 및 후기 보러 가기

 

 

 

2. 중앙탁자석 22블록

 
 

22블록에서 보이는 사직 야구장 전경

 
 
 

  • 위치: 1루 내야 하단, 포수 뒤 중앙 방향 (중앙탁자석)
  • 시야: 홈베이스 중심으로 1루~3루까지 전체가 막힘없이 보이며, 거리감은 약간 있지만 시야 개방감이 좋다는 실관람 후기가 많습니다.
  • 가격: 주중 40,000원 / 주말 55,000원 (2025년 기준, 컬러 프라이스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22블록에서 보는 야구 경기 모습과 롯데자이언츠 마스코트 누리

 
 
중앙 테이블석 22블록은 가격 대비 만족도가 높은 테이블석입니다.
에비뉴엘석보다 가격은 낮지만, 포수 뒤 정중앙에 가까운 시야로 내야 전체를 잘 조망할 수 있어 현장감도 충분합니다.
테이블이 설치되어 있어 소지품을 놓거나 간단히 음식을 두고 관람하기 좋으며,
응원단 소리도 자연스럽게 들려 응원과 관람을 함께 즐기기에 적합한 좌석입니다.
 
 

 

3. 두 좌석 비교 요약

 

좌측 에비뉴엘석 13블록과 우측 중앙테이블석 22블록 사진

 
 
에비뉴엘석은 정면 시야 + 편의성 + 프리미엄 서비스 제공이 결합된 프리미엄 존입니다.
가격이 높은 만큼 여유 있고 집중력 있는 관람이 가능합니다.
 
반면 22블록은 가성비를 고려하면서도 응원 분위기와 경기 전체 흐름을 동시에 잡고 싶은 분들께 잘 맞는 선택입니다.
좌석 간 거리나 편의성은 충분히 좋으며, 전체적인 시야 아주 좋습니다.
 
 

4. 시야 사진으로 직접 비교하는 방법

 
글로만 보는 정보보다 실제 좌석 시야 확인할 수 있는 방법 알려 드릴게요.
에비뉴엘석과 22블록 테이블석의 실제 시야 비교 방법을 확인해 보세요.
 
사직 야구장뿐만 아니라 모든 구장의 좌석 시야와, 농구, 배구 경기장 시야까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야구장 좌석 시야 확인 방법 보러 가기

 


 
 
사직야구장 직관을 준비 중이라면,
좌석 선택은 단순히 가격만 보지 마시고 위치와 시야, 응원 분위기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오늘 소개해드린 에비뉴엘석과 22블록 테이블석 비교 정보가 여러분의 선택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궁금하신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